주당순자산비율(PBR)

PBR(Price to Book Ratio) = 주가 / 주당순자산(BPS)

1. PBR 의미

주가가 한 주당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주가 기준의 하나로 장부에 기재된 한 주당 순자산(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으로 나눠서 구한다. PER과 함께 주식투자의 중요한 지표(링크 참고)이다. 최악의 상황(부도)의 경우 회사가 망한다고 가정하면 총자산에서 부채를 우선적으로 갚아야 한다. 그 이후 남는 자산이 순자산인데, PBR은 최악의 경우를 대비하여 회사의 재무 상태가 얼마나 튼튼하고 안정적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주가수익비율(PER)이란?

주가 수익비율(PER)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 / 1주당 당기순이익(납세후) = 주가 / EPS 1. PER 의미 주가 수익비율(PER)은 주가가 그 회사의 1주당 수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주가를 1주.

bibless.tistory.com

2. PER vs PBR

주식투자를 위한 기업 분석의 핵심은 기업의 가치와 현재 주가를 비교하여 주가가 기업의 내재가치에 비하여 낮을 경우 매수하고, 주가가 기업의 내재가치에 비해 높을 경우 매도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결국 기업의 적정가치(내재가치)를 정확히 평가할수록 주식시장에서 성공할 확률이 커진다는 것이다. 기업의 가치를 알기 위한 다양한 지표가 있는데, 그중 PER은 수익가치를 감안하여 상대적인 주가 수준을 평가할 때 유용하며, PBR은 장부가치(Book Value)를 보여주는 비율로서 시장 가격과 장부가치의 괴리를 평가할 때 유용하다.

PBR에서 중요한 주당순자산(BPS)는 기업 청산 시 회계장부 상으로 주주가 가져갈 수 있는 최소한의 몫을 나타내는 것으로, PBR이 낮을수록 투자자는 낮은 가격의 주당순자산을 확보할 수 있다. PBR이 1보다 작다면 장부가치로 청산한다고 가정해도 1주당 귀속되는 몫이 현재 주가보다 많다는 것이다. 즉 PBR은 마지노선 같은 개념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3. PBR 확인 방법

먼저, 원하는 기업을 검색한다. 검색엔진은 네이버, 인베스팅닷컴, 주식 HTS(MTS) 등을 활용하며, 기업의 재무영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사진은 네이버에 '애플'이라는 기업을 검색하여 주요 재무에서 연간 PBR 수치를 확인해본 사진이다. 애플의 경우 PBR이 30을 전후로 나타나는데, 이는 코스피지수의 PBR이 1.1을 감안하였을 때 엄청난 프리미엄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주당순자산비율(PBR)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오늘도 유익한 정보 전달의 시간이 되셨기를 바라며, 다음번에 더 좋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 Recent posts